여러분, 경제학 공부를 하시다 보면
‘보완재’와 ‘대체재’라는 용어를 자주 만나시게 됩니다.
대체재란 서로 비슷한 만족을 주어서
한 상품 대신 다른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관계를 말합니다.
예를 들어, 커피와 차, 쌀과 빵, 소고기와 돼지고기처럼
한쪽 가격이 오르면 다른 쪽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요.

반면에 보완재는 두 상품을 함께 사용할 때 만족도가 더 커지는 관계입니다.
햄버거와 감자튀김, 자동차와 휘발유, 프린터와 잉크처럼
한 상품을 구매할 때 자연스럽게 다른 상품도 함께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.
가격변화와 수요의 움직임
보완재와 대체재는 가격이 변할 때
수요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대체재의 경우,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(예: 커피 가격 상승)
소비자들은 대신 다른 상품(차)을 더 많이 찾게 됩니다.
즉, 한쪽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쪽의 수요가 늘어나는 관계이지요.
![]() |
![]() |
대체재 : 커피 | 대체재 : 차 |
보완재는 반대로 한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(예: 자동차 가격 상승)
그와 함께 사용하는 상품(휘발유)의 수요도 함께 줄어듭니다.
즉, 한쪽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쪽의 수요도 같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습니다.
![]() |
보완재 : 자동차와 휘발유 |
이런 관계는 실제로 기업의 마케팅, 정부의 세금 정책,
시장의 가격 결정 등 다양한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실생활에서 만나는 보완재와 대체재
우리 일상에서도 보완재와 대체재의 개념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
대체재의 예로는 우유 가격이 오르면 두유나 아몬드유를 찾는 분들이 늘어나고,
쌀 가격이 비싸지면 대신 빵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![]() |
![]() |
대체재 : 쌀 | 대체재 : 빵 |
보완재의 예로는 스마트폰을 사면 충전기도 함께 구매하고,
치약을 살 때 칫솔도 같이 사는 경우가 많지요.
자동차를 구매하면 보험이나 정비 서비스도 자연스럽게 필요해집니다.
![]() |
![]() |
보완재 : 치약 & 칫솔 | 보완재 : 햄버거 & 감자 |
이처럼 보완재와 대체재의 관계는 소비자의 선택뿐 아니라
기업의 마케팅 전략, 신제품 개발, 가격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.
시험 지문 사례형으로 정리해 볼까요?
시험에서는 아래 표와 같이 보완재와 대체재의
개념, 특징,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.
개념 | 특징 | 가격 변화 | 예시 |
대체재 | 한 상품 대신 쓸 수 있는 상품 | 한쪽 가격 ↑ → 다른 쪽 수요 ↑ |
커피-차, 쌀-빵, 소고기-돼지고기 |
보완재 | 함께 쓸 때 만족도가 더 커지는 상품 | 한쪽 가격 ↑ → 다른 쪽 수요 ↓ |
햄버거-감자튀김, 프린터-잉크 |
- 핵심 포인트
- 대체재: 가격과 수요가 반대로 움직입니다.
- 보완재: 가격과 수요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.
- 실생활 예시와 함께 기억하시면 헷갈리지 않으실 거예요.
'경제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: 시장에서 누가 얼마나 이득 볼까요? (0) | 2025.08.04 |
---|---|
공급은 얼마나 빠르게 늘릴 수 있을까? 공급의 가격 탄력성 (0) | 2025.07.04 |
가격이 오르면 얼마나 덜 살까? 수요의 가격 탄력성 (0) | 2025.07.03 |
가격이 움직이는 이유 – 수요와 공급의 법칙 (0) | 2025.07.02 |
선택과 희생의 경계선 : 생산 가능 곡선 (PPC) (0) | 2025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