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경제학

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: 시장에서 누가 얼마나 이득 볼까요?

경제학에서 소비자 잉여생산자 잉여

시장 거래에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각각 얻는 ‘이득’을

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.

 

소비자 잉여, 생산자 잉여,

  • 소비자 잉여
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
‘기꺼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금액’과 ‘실제로 지불한 금액’의
차이에서 생기는 이득이에요.
즉, 예상보다 싸게 샀을 때 느끼는 만족감이 바로 소비자 잉여입니다.

 

  • 생산자 잉여
생산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 때
‘최소한 받고 싶었던 금액’과 ‘실제로 받은 금액’의
차이에서 생기는 이득입니다.
즉, 
예상보다 비싸게 팔았을 때 남는 이익이 생산자 잉여입니다.

 

 

수요·공급곡선과 잉여의 위치

시장에서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거래가 이루어집니다.

  • 소비자 잉여는 수요곡선과 시장가격선 사이, 위쪽 삼각형 부분의 면적입니다.
  • 생산자 잉여는 공급곡선과 시장가격선 사이, 아래쪽 삼각형 부분의 면적이에요.

 

수요 공급 곡선과 경제적 잉여

 

이 두 잉여의 합을 사회 잉여 또는 총 잉여라고 부르며,

이는 시장의 효율성과 정책 효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

실생활에서 만나는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

여러분도 쇼핑이나 거래에서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자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.

  • 소비자 잉여 예시:
    • 세일 기간에 평소 10만 원까지 낼 생각이었던 운동화를 7만 원에 샀다면, 소비자 잉여는 3만 원입니다.
    • 중고거래, 쿠폰 할인, 조조할인, 특가 이벤트 등도 모두 소비자 잉여를 늘려주는 상황이에요.
  • 생산자 잉여 예시:
    • 농민이 1,000원에 생산한 감자를 2,000원에 팔았다면, 생산자 잉여는 1,000원입니다.
    • 디지털 상품, 중고거래에서 기대했던 것보다 높은 가격에 팔았을 때도 생산자 잉여가 생깁니다.

시험 지문 사례형으로 정리해 볼까요?


구분  정의 계산법 예시
생산자 잉여 실제 받은 금액 - 최소 수락 금액 실제 판매가격 – 최소 수락가격 1,000원에 생산한 감자를 2,000원에 판매 (잉여 1,000원)
소비자 잉여 기꺼이 지불할 최대금액 - 실제 지불금액 최대 지불 의향 – 실제 가격 10만 원까지 낼 생각이던 운동화를 7만 원에 구매 (잉여 3만 원)
  • 가격이 내려가면 소비자 잉여는 커지고, 생산자 잉여는 줄어듭니다.
  • 가격이 올라가면 생산자 잉여는 커지고, 소비자 잉여는 줄어듭니다.
  • 두 잉여의 합(사회 잉여)은 시장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.

거래이득